"아 그... 거시기 있잖아!", "와, 진짜 징하다 징해!" 우리가 일상 대화나 심지어 영화에서도 정말 자주 사용하는 표현들이죠. 그런데 문득 궁금해집니다. 과연 '거시기'나 '징하다'는 표준어일까요, 아니면 정겨운 사투리일까요?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이 단어들의 정확한 정체와 쓰임새를 알아보겠습니다.

결론부터: '거시기'와 '징하다', 둘 다 표준어입니다!
많은 분들이 사투리로 오해하지만, 두 단어 모두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엄연한 표준어입니다.
거시기 (표준어)
- 품사: 대명사, 감탄사
- 핵심 의미: 이름이 생각나지 않거나 말하기 곤란한 사람/사물을 가리킬 때, 또는 머뭇거릴 때 사용합니다.
징하다 (표준어)
- 품사: 형용사
- 핵심 의미: 매우 끈질기거나 지긋지긋한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.
1. 거시기: 사투리에서 승격된 만능 대명사 & 감탄사

많은 분들이 전라도 사투리로 알고 있지만, '거시기'는 1988년 표준어 규정이 공표될 때 공식적으로 표준어의 지위를 얻었습니다.
예시: "어제 만났던
거시기
, 이름이 뭐였더라?" (그 사람)예시: "
거시기
... 제가 실수한 것 같습니다." (말을 꺼내기 어려울 때)2. 징하다: 끈질김과 지긋지긋함의 표현

'징하다' 역시 특유의 어감 때문에 사투리로 오해받지만, '매우 끈질기거나 지긋지긋하다'는 의미를 나타내는 표준어 형용사입니다.
'징하다' 활용 예시
징하다
. (끈질기다)징하다
. (지긋지긋하다)징한
더위가 계속되고 있다. (지긋지긋한)3. 실전 퀴즈: 표준어일까, 사투리일까?
이제 얼마나 이해했는지 간단한 퀴즈로 확인해 보세요! 정답과 해설은 제목을 클릭하면 보입니다.
Q1. "아따, 거시기 해부러!" 에서 '거시기'는 표준어일까?
네, 표준어입니다.
해설: 문장 전체는 사투리 억양이 강하지만, '거시기'라는 단어 자체는 표준어가 맞습니다. 여기서는 '그 일' 또는 '그것'을 대신하는 대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.
Q2. "모기가 징하게 달려드네." 에서 '징하게'는 올바른 표현일까?
네, 올바른 표현입니다.
해설: 형용사 '징하다'의 부사형으로, '끈질기게' 또는 '지긋지긋하게'라는 의미를 잘 전달하는 표준어 활용입니다.
'거시기'와 '징하다', 이제 확실히 아셨죠? 두 단어 모두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엄연한 표준어입니다. 앞으로 헷갈리지 않고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는 데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'오늘의 황금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색 옥수수차 효능 100% 활용 가이드: 눈 건강부터 다이어트까지! 부작용 없이 마시는 꿀팁 총정리 (0) | 2025.06.24 |
---|---|
땡처리 항공권의 모든 것: 99%가 모르는 함정과 득템 비법 (0) | 2025.06.24 |
안 하다 vs -지 않다 띄어쓰기, 아직도 헷갈린다면? (1분 만에 완벽 정리!) (0) | 2025.06.23 |
로써와 로서 차이, 아직도 헷갈리세요? (5분 만에 완벽 정리!) (0) | 2025.06.23 |
요기요 할인 꿀팁: 할인랭킹, 쿠폰 중복, 요기패스X 활용법 총정리 (0) | 2025.06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