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와 데 구분법
안녕하세요 채원 파더입니다.
"그때 그 식당 내가 가보았는데 정말 맛있더라" 여기에 사용된 가봤는대는 올바른 표현일까요?
일상생활에서 정말 많이 사용되지만 사용에 있어서 자주 틀리는 '-대'와 '-데'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-대
-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닌 남의 말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
- -다고 해가 줄어든 말
-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(놀람, 불평)
'-대'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이게 됩니다. 또는 '-다고 해'가 줄어들어서 사용되기도 합니다. 마지막으로 어떤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쓰이게 됩니다.
간단한 예) 이번 연말정산 금액이 많이 추가된대. (직접 경험이 아닌 남이 말한 내용의 간접적 전달)
그 핸드폰 좋대.( -다고 해가 줄어든 말)
왜 이렇게 붐빈대?(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놀람, 불평)
-데
-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임
- -더라와 같은 의미
- 장소의 뜻을 표현하는 말
- 일이나 것의 뜻을 표현하는 말
- 경우의 뜻을 표현하는 말
'-대'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. '-더라'와 같은 의미이며 장소, 일이나 것, 경우의 뜻을 표현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. 또한 '-데'에서도 '-대'와 같이 의문형의 종결 어미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.
이와 같은 경우에는 '-던가'의 뜻으로 쓰인 예입니다.
간단한 예) 이것 많이 비싸던데. (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)
어디서 오는 데 이리 오래 걸리니?(장소를 나타낼 때)
속이 아픈 데 먹는 약 주세요.(경우를 나타낼 때)
그 누나 예쁘데?(-던가의 뜻)
이상으로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그 사용에 있어 실수가 많은 '-대'와 '-데'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
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는 글 공유드립니다.
률과 율 구분법
률과 율 구분법 안녕하세요 채원 파더입니다. "올해 우리나라의 수출성장율은 10% 감소되었습니다." 여기에서 사용된 성장율은 올바른 표현일까요?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잘못된 사
hidedive02.tistory.com
감사합니다.
'언어백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랜만에, 오랫만에, 오랜동안, 오랫동안 (0) | 2021.02.24 |
---|---|
개다 개이다 (0) | 2021.02.16 |
률과 율 구분법 (0) | 2021.02.09 |
메꾸다 메우다 (0) | 2021.02.08 |
가르치다, 가리키다 (0) | 2021.0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