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아따, 시방 - 전라도 사투리로 오해받는 표준어
안녕하세요 채원 파더입니다.
"아따, 시방 똥개 훈련시키는가?" 응답하라 1994에서 성동일의 걸쭉한 전라도 사투리와 다채로운 성동일만의 어휘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성동일의 대사 중 '아따'와 '시방'은 사투리일까요?
오늘은 전라도 사투리로 오해받는 표준어 '아따'와 '시방'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아따
- 무엇이 몹시 심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가볍게 내는 소리
'아따'는 감탄사의 한 종류로써 무엇이 몹시 못마땅할 때 쓰는 감탄사입니다.
간단한 예) 아따, 뭘 그리 꾸물거려.
2. 시방
- [명사] 말하는 바로 이때
- [부사] 말하는 바로 이때에
- 지금과 같은 의미
'시방'은 지금과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로써 명사로는 말하는 바로 이때, 부사로써는 말하는 바로 이때에라는 의미로 쓰여고 있습니다.
간단한 예) 시방 몇 시야?
이상으로 전라도 사투리로 오해받는 표준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
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는 글 공유드립니다.
[언어백과] - 거시기, 징하다 - 전라도 사투리로 오해받는 표준어
감사합니다.
728x90
반응형
'언어백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거시기, 징하다 - 전라도 사투리로 오해받는 표준어 (0) | 2021.03.15 |
---|---|
메다, 매다 (0) | 2021.03.10 |
설겆이, 설거지 그리고 설거지 어원 (0) | 2021.03.08 |
오랜만에, 오랫만에, 오랜동안, 오랫동안 (0) | 2021.02.24 |
개다 개이다 (0) | 2021.02.16 |